1) 스키마(Schema)의 정의
- 스키마란,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한 메타데이터의 집합입니다.
- 테이블, 열, 데이터 유형, 관계, 제약조건 등 데이터 구조를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술합니다.
- 데이터베이스 관리 관점에서는 다음과 같이 3단계 스키마 구조로 구분합니다:
단계 | 설명 |
외부 스키마 | 사용자나 응용 프로그램 관점에서 본 데이터 구조 (View) |
개념 스키마 |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 정의 (ERD, 테이블 간 관계 등) |
내부 스키마 | 물리적인 데이터 저장 방식 정의 (인덱스, 파일 구조 등) |
- 이 구조를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(Three-Schema Architecture) 라고 부릅니다.
2) 스키마의 구성 요소
구성 요소 | 설명 |
테이블 |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 단위 (행과 열로 구성) |
열(Column) | 각 열은 특정 속성과 데이터 유형을 가짐 |
행(Row) | 실제 데이터 레코드 한 건을 의미 |
데이터 유형 | 열마다 정해진 데이터 형식 (예: 정수, 문자, 실수 등) |
관계 | 테이블 간의 연결 관계 (일대일, 일대다, 다대다) |
제약조건 | 데이터 무결성을 위한 규칙 (예: 기본키, 외래키 등) |
3) 스키마의 종류
스키마 유형 | 설명 |
개념 스키마 | - 데이터베이스 전체의 논리적 구조
|
외부 스키마 |
|
내부 스키마 |
|
4) 비유 : 데이터베이스 = 아파트
아파트 | 데이터베이스 |
설계도 | 스키마 |
아파트의 방 | 테이블 (Table) |
방 안의 가구 | 열 (Column) |
실제 입주자 | 행 (Row, 레코드) |
가구의 종류 | 데이터 유형 (Data Type) |
입주 규칙 | 제약 조건 (Constraints) |
'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LAP과 OLTP란? (3) | 2025.06.23 |
---|---|
슈퍼키란? (0) | 2025.05.17 |
NoSQL이란? (0) | 2025.05.17 |
명시적 조인 vs 비명시적 조인 (0) | 2025.05.06 |
DBeaver SQL 한글 마지막 글자 없어짐 현상 해결 방법 (0) | 2025.04.16 |